Search This Blog

December 18, 2011

The one-shot society 수능한방으로 인생이 결정되는 한국사회

영국 경제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최근호....

`한국의 입시:한방으로 결판나는 사회(Exam in South Korea:The one-shot society)'라는 제목의 특집 기사에서 한국 교육의 성과를 분석한 뒤 현행 교육제도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비판






수험생을 위해 모든 것이 멈춰 버리는 수능 시험 당일의 기괴한 현상을 거론하며 "학생들이 치르는 다지선다형 시험은 그들의 미래를 결정한다"고 언급

이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은 공무원 또는 재벌기업 간부로서 평생 직업을 보장하는 일류대학에 들어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수준이 낮은 대학에 가거나 아예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상류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숙제를 하도록 채근하고 이러한 교육열은 한국의 교육적 성과를 세계가 선망하도록 만들었다"고 평가.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한국은 6.2%의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등 교육제도는 유익한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엄청난 대가도 따른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

지옥이 돼 버린 고등학교의 학생들은 벨이 울리자마자 식당으로 달려가 점심을 늑대처럼 빨리 먹어치운 뒤 소중한 자유시간을 이용해 공을 찰 때가 그나마 가장 행복한 시간이라는 것이다.

모두가 대학에 가다 보니 25~34세 한국인 가운데 대졸자가 63%에 이르고 서울의 경우 가구 소득의 16%를 사교육에 지출하지만 갈수록 대졸 취업률은 낮아지고 있다.

또한 자녀를 교육시키기가 벅차기 때문에 젊은 여성들은 장차 국가가 필요로 하는 노동력의 원천인 자녀를 낳지 않는다.
   
여성들이 몇년 동안 휴직하면 이들의 복직을 환영할 한국의 기업은 많지 않고 간혹 복직하더라도 융통성 없는 장시간 근무라는 냉혹한 현실이 기다리고 있다.

특히, 한국의 엄마들은 자녀의 학업 성적을 우수하게 만들 책임을 대부분 짊어지고 있기 때문에 직장에서 일을 하는 것과 아이를 키우는 것을 양립하기가 극히 어렵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제 번영은 근면성, 노동연령층이 가장 큰 인구 비중을 차지하는 1970~1990년의 인구구조, 선진국을 따라잡을 풍부한 기회 위에 건설됐다"고 평가.

하지만 이제 한국이 부국에 속하게 됐고 더 이상 다른 국가들을 모방해서 고속성장을 이룩할 수는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고령화로 인해 역동성이 줄어든 인구 구조와 사고력 보다 기계적 학습을 중시하는 교육제도로는 창의적인 국가가 될 수 없다고...

No comments:

Post a Comment